많은 분들이 궁금해하시는 질문 중 하나는 바로 “기초연금과 국민연금을 동시에 받을 수 있나요?”입니다. 결론부터 말씀드리자면, 동시에 받을 수 있습니다. 다만 일부 조건에서는 기초연금이 감액될 수 있기 때문에 정확한 제도 이해가 필요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기초연금과 국민연금 중복 수령 요건, 감액 기준, 그리고 실제 수령 예시를 통해 한눈에 이해할 수 있도록 정리해드리겠습니다.
기초연금과 국민연금은 어떻게 다른가요?
- 국민연금: 소득활동을 하며 납부한 보험료에 따라 지급되는 공적연금
- 기초연금: 만 65세 이상 고령자 중 소득 하위 70%에게 지급되는 복지 성격의 연금
즉, 국민연금은 납부 이력이 있는 사람에게 지급되는 반면, 기초연금은 일정 소득 이하의 고령자에게 지급됩니다. 두 제도는 목적이 다르기 때문에 중복 수령이 가능하지만, 기초연금의 경우 일부 감액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2025년 기준 기초연금 수급 요건
- 만 65세 이상
- 소득 하위 70% 이내 (소득인정액 기준)
- 국내 거주 중인 대한민국 국민
2025년 기준 소득인정액 선정기준은 다음과 같습니다:
- 단독가구: 월 213만 원 이하
- 부부가구: 월 341만 6천 원 이하
국민연금을 받고 있으면 기초연금은 감액될까?
기초연금은 국민연금을 수령 중인 경우 일부 감액 조정이 이루어질 수 있습니다. 다만, 국민연금 수령 금액이 월 55만 원 이하인 경우에는 대부분 기초연금 전액 수급이 가능합니다.
2025년 기준 기초연금 최대 지급액은 다음과 같습니다:
- 단독가구: 월 최대 334,000원
- 부부가구: 월 최대 534,000원 (1인당 267,000원)
기초연금 감액 기준 구체적으로 알아보기
기초연금 감액 여부는 다음 두 가지 요소로 판단됩니다:
- 국민연금 연계 감액: 국민연금 수령액이 일정 수준 이상일 경우, 기초연금 일부 감액
- 소득인정액 초과 감액: 소득+재산을 합산한 소득인정액이 기준을 초과하는 경우
예를 들어, 국민연금으로 월 70만 원을 받고 있고, 소득인정액이 단독가구 기준 230만 원이라면, 기초연금이 일부 감액되어 월 약 20~25만 원 정도만 수령 가능할 수 있습니다.
실제 수령 예시로 쉽게 이해하기
사례 | 국민연금 수령액 | 소득인정액 | 기초연금 수령액 |
---|---|---|---|
단독가구 A씨 | 30만 원 | 180만 원 | 334,000원 (전액 수령) |
단독가구 B씨 | 70만 원 | 230만 원 | 약 250,000원 (일부 감액) |
부부가구 C씨 부부 | 각 60만 원 | 330만 원 | 각 260,000원 내외 (감액 없이 수령 가능) |
기초연금 중복 수령 여부, 어떻게 확인하나요?
복잡한 감액 여부는 직접 계산하기 어렵기 때문에, 국민연금공단 또는 읍·면·동 주민센터, 복지로 사이트에서 미리 자격 여부를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기초연금 모의 계산기’를 활용하면, 국민연금 수령액을 기준으로 기초연금 수급 가능 여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마무리
기초연금과 국민연금은 동시에 받을 수 있으며, 상황에 따라 일부 감액만 적용될 수 있습니다. 단독가구 기준 월 55만 원 이하의 국민연금을 받는다면 대부분 기초연금 전액 수령이 가능하니 꼭 확인해보세요. 정확한 판단을 위해 사전에 상담 및 모의 계산을 활용하는 것이 현명한 노후 준비의 첫걸음입니다.
※ 본 글은 2025년 4월 기준 보건복지부 및 국민연금공단 자료를 바탕으로 작성되었습니다.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년 기초연금 감액 기준 완전 정리 – 소득인정액과 재산 기준 (0) | 2025.04.27 |
---|---|
2025년 기초연금 신청 방법과 준비 서류 정리 (0) | 2025.04.27 |
노령연금이란? 국민연금과 무엇이 다를까? (0) | 2025.04.26 |
2025년 국민연금, 언제부터 얼마나 받을 수 있을까? (0) | 2025.04.26 |
2025년 기초연금, 누구에게 얼마나 지급될까? (0) | 2025.04.26 |